신당권파인 강기갑 대표는 10일 당 대표직을 내려놓고 탈당을 선언했다. 사실상 정계은퇴를 시사한 것.
그는 1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당을 막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 했지만 그 모든 것이 허사가 되고 말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표는 "진보의 분열을 막지 못한 총체적 책임자는 그 누구도 아닌 혁신비대위원장에 당대표인 저 자신”이라며 “그러기에 저는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야 하고 동지들이 가는 길에 함께 하지 못함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보정당 역사에 죄인이 된 저는 속죄와 보속의 길을 가고자 한다. 저는 이제 흙과 가족이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고향의 품으로 돌아간다”며 낙향 의사를 시사했다.
이에 반해 구당권파 핵심인물인 이정희 전 대표는 사실상 대선에 뛰어들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대선까지 남은 100일 간 아무런 얘기도 하지 않고 아무것도 못하겠다고 하는 것은 너무 움츠러드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출마의지를 시사했다.
이어 "통진당에 작은 기대를 갖고 (당을) 지키려고 하는 분들이 계신다"며 "(그분들을 위해서라도) 당을 살리기 위해 무엇이든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전 대표는 최근 비례대표 의원 4인에 대한 제명안이 의원총회에서 가결된 것과 관련해선 "셀프제명이라는 기상천외한 일이 벌어졌다”며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원래 비례대표 의원들이 당을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는 것”이라며 “당을 나가겠다고 하면 당을 살릴 분들이 그 자리를 받아서 일하는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같은 구당권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신당권파의 탈당 움직임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강동원·노회찬·심상정 등 지역구 의원 3명도 탈당 의사를 밝힐 예정이다. 이들은 이미 탈당한 박원석·정진후·서기호·김제남 등 비례대표 의원 4명과 함께 새로운 진보정당 창당에 힘을 모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맞서 구당권파가 탈당 방지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진통이 예상된다. 구당권파는 서울남부지법에 무효확인 본안 소송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