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부는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이하 아청법) 제7조 제5항, 제2항 위반죄로 기소된 이 부분 공소사실이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해당 조항은 아동과 청소년에 대해 폭행이나 협박으로 성추행 또는 성폭행할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은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씨는 H여고 교장으로 재직 중이던 2010년 자신의 관사 안방에서 당시 16세이던 A학생에게 유사 성교행위를 시키는 등 교장 지위를 이용해 수차례에 걸쳐 학생을 성추행한 혐의로 기소됐다.
1심에서는 김씨에게 징역 3년,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40시간 이수 등을 선고하면서도 일부 공소사실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2심은 그러나 검찰이 적용한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7조 2항 위반 혐의에는 반의사불벌죄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돌려보낼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김씨는 1심에서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7조 2항 위반 혐의 등에 대해 다시 양형해 선고를 받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