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관리원과 합동수사를 벌여온 서울 수서경찰서는 11일 인적이 드문 곳에서 가짜 석유를 제조해 시중에 유통한 혐의(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위반)로 서모씨(39) 등 6명을 구속하고 1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나머지 14명을 추적 중에 있다.
총책 서씨 등 유통조직단 35명은 2009년 10월부터 최근까지 경기·충청·대구 일대에서 가짜 석유를 만들어 길거리 판매업자와 주유소 등에 공급한 혐의다. 이들은 가짜 석유 제조에 쓰이는 원료 3억2700만리터를 구입한 뒤 메탄올, 톨루엔 등과 섞어 시가 1조597억원 상당의 가짜 휘발유·경유를 제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적발된 조직은 국내 최대규모다. 지금까지 적발된 가짜석유 최대 판매량은 약 900억원으로 지난 1월 일당 11명이 검거된 바 있다. 판매업자나 제조업자들이 적발된 사례는 많았지만 원유를 빼돌려 공급한 업자가 검거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자금관리·원료공급·운송책·유통책 등 역할을 분담해 유통망 조직을 형성, 유령 법인을 설립해 가짜 석유의 원료가 되는 ‘용제’를 매입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용제는 석유를 정제하고 나온 부산물로 보통 페인트 희석제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일당은 원료공급 대리점에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정상적으로 용제를 유통한 것처럼 꾸며 석유관리원의 감시망을 빠져나갔다. 석유관리원은 용제의 판매량과 판매처 등 유통 과정을 관리하고 있다.
가짜 석유는 고속도로 갓길이나 인적이 드문 길거리 등에서 거래가 이뤄졌으며 일당은 제조 공장을 수시로 옮겨 다니면서 단속을 피해왔다고 경찰은 밝혔다. 가짜 석유는 리터당 1400원 가량으로 정상 휘발유 값보다 약 30% 싸게 판매됐으며 이런 수법으로 이들은 2년여동안 3000억의 부당이득을 챙겼다. 이는 가짜석유 적발 사례 중 최대 규모다.
경찰은 달아난 운반책 등 14명을 수배하고, 공범이 더 있는지 수사하고 있다. 또 가짜 석유 유통조직 배후에 조직폭력배가 연루된 정황을 포착해 이를 뒤쫓고 있다.
강승철 석유관리원 이사장은 “용제를 빼돌려 가짜 석유를 제조하고 유통시킨 하나의 ‘세트’를 드러낸 것에 큰 의의가 있다”며 “나머지 일당까지 추적해 가짜 석유를 근절시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