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에 따르면 문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 양자대결에서 44.2%의 지지를 얻어 안 원장(34.5%)을 9.7% 포인트 차로 앞섰다. 문 후보가 안 원장보다 우세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초만 해도 안 원장과 문 후보간 지지율 격차는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문 후보 지지율의 상승세는 지방 순회경선에 연이어 1위를 기록하면서 민주당의 대선후보 지위를 굳힌 것이 영향을 줬다는 해석이다. 이에 민주당 관계자는 “경선 초반에는 원고를 읽는데 급급하던 문 후보가 이제는 아주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연설하고 있다”며 달라진 모습을 강조했다.
반면 안 원장의 하락세는 출마선언 미루기에서부터 비롯된 ‘안철수 피로감’과 이에 더해 금태섭 변호사와 정준길 전 공보위원의 ‘협박사건’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같은 역전세를 이끌어가기 위해 문 후보측이 내놓을 만한 묘수는 안 원장의 막연한 인기로 대변되는 ‘불투명함’을 역이용하는 것이다.
야권 관계자들은 안 원장이 출마를 선언해봤자 정책자문단도 없이 급하게 만들어질 안 원장의 공약이 필연적으로 부실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인물 검증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안 원장이 나와봤자 대선이 10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인물 검증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우려했다. 사실상 야권 단일화 후에도 안 원장은 거품이 추가로 빠질 가능성이 커 안정감이 적다는 것이다.
또 안 원장은 국가 경영에 참여해본 경험도 없고, 함께 일할 정치세력이 없다는 점도 지지율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에 반해 문 후보는 경선이 막바지로 치닫으면서 승리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내 지지세력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13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당의 새로운 진로 개척과 대선승리라는 요구를 담아내야 하는 후보라는 관점에서 그동안 마음속으로 문재인 후보를 성원해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공개 지지 선언을 했다.
뿐만 아니라 친노 세력의 당 지도부 역시 문 후보의 든든한 배경이 되고 있다.
구체적인 공약뿐만 아니라 아직 확실한 출마선언도 하지 않은 안 원장과 달리 문 후보는 구체적인 선대위 구상까지 이미 완료했다.
문 후보는 경선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시민사회를 아우르고 모든 계파를 녹인 용광로 같은 선대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당내 경쟁자인 비문(非文) 주자들은 물론 시민사회단체 등과도 손을 잡는 통합형 선대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