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일, 울산과학기술대 전용석 교수, 김병훈 교수 등이 공동 참여한 연구팀이 수소가스를 그래핀 표면에 흡착해 n형 그래핀 반도체를 만드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출판사가 발행하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꿈의 반도체'로 불리는 그래핀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보다 전도성도 높고 유연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전자(electron)를 통해 전도가 이뤄지는 'n형'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플라스마 처리 등 비싸고 복잡한 공정을 해야 했다.
이에 연구팀은 탄소 결손이 있는 그래핀을 수소가스에 노출해 공기 중에서 분리된 수소가 결손부분에 달라붙게 하는 방법으로 손쉽게 n형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 교수는 "공기 중에서도 안정한 n형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데 성공해 앞으로 저비용 고효율 반도체 소자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