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의원은 이날 한전국정감사에서 “현행 한전이 제시한 새만금 345kV 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대안으로 주민대책위는 3000여만원의 자체모금을 통해 (사)한국지역개발학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했다”며 “그 결과 제시된 우회선로(대안노선)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합리적이고 주민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하지만 한전이 외면하고 있다”며 “특히 향후 국책사업(서해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하면 대안노선으로의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전은 새만금 345kV 송전선로 사업의 목적을 군산지역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 및 새만금 산업단지·군산 산업단지 내 안정적 전력공급을 사업목적으로 내걸고 나섰다. 하지만 실제로 전라북도 군장산업단지 내 대규모 전력소비 기업인 OCI 군산공장과 새만금지역 개발계획에 따른 전력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사업이다.
오 의원은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OCI는 공급과잉 심화, 중국발 저가공세, 유럽발 보조금 삭감 충격 등 태양광 산업의 침체에 당분간 전력 수요가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시급하게 송전선로 건설을 서두를 이유가 없는 상태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그는 “향후 추진 중인 국책사업에 공급될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송전선로 건설비용은 한전(안) A~C구간(37km) 총 2,100억 원이 예상된다”면서 “반면, 대안노선 건설사업비는 A~C구간(27km) 총 68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 군산시의 장기적인 에너지공급 측면, 주민갈등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 그리고 주민들에게 발생될 재산권침해 등 모든면에서 대안노선이 훨씬 타당한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오 의원은“한전은 주민의 피해도 최소화하고 비용도 1400억 원 가량을 줄일 수 있는 대안노선을 적극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현재 새만금 345kV 송전선로 건설은 군산지역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 및 새만금 산업단지, 군산 산업단지 내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총 연장 30.6km, 철탑 88기, 총 예산 1260억원을 들여 연말인 12월 준공목표로 건설 중에 있다. 사업주체는 한전, 시공은 GS건설이 맡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