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길본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곶자왈의 보전 및 이용기술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곶자왈내 문화유적에 대해 조사하던 중, 선흘곶자왈 내 용암동굴에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다수의 토기들이 발견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생활유물이 발견된 동굴의 규모는 폭 160cm, 높이 130cm 이며, 유물들은 입구에서 약 5m까지 분포하고 있다.
주요 유물로는 신석기시대 후기(기원전 2,500~1,500년)의 점렬문토기편 약 10여점, 탐라형성기(기원전 200~기원후 200년)의 적갈색경질토기편 약 30여점 등 선사시대의 옛 유물들과 옹기조각, 백자조각 등 조선 및 근현대 시대까지의 유물들로 구성됐다.
이러한 유물들이 발견됨으로써 곶자왈이 이미 선사시대부터 수렵과 채집의 주 무대였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게 됐다.
이처럼 곶자왈 선사시대 유물의 발견은 지난 7월 숯가마를 비롯한 숯막 사냥을 위한 축조물, 농경지터, 생활용수시설 등 조선시대 후기 생활유적 발견에 이은 곶자왈 역사문화 분야에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강창화 제주고고학연구소 박사는 “곶자왈에서 이러한 역사적 유물들이 발견되는 것은 제주도 고고학과 문화사 분야에서 곶자왈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것으로 지속적인 발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변광옥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도 “곶자왈의 생태자원과 함께 역사문화 자원에 대해서도 조사연구를 계속하여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