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신뢰외교와 새로운 한반도’라는 주제로 가진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발표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 간 교류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과 평양에 각각 ‘교류협력사무소’를 설치하고,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컨트롤 타워를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박 후보는 “오늘의 한반도에 가장 필요한 것은 평화다. 튼튼한 안보 기초 위에 남북관계 정상화를 통해 만들어지는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해 신뢰받는 외교를 펼칠 때 행복한 통일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정책 발표의 3대 기조로 ‘지속 가능한 평화’, ‘신뢰받는 외교’,‘행복한 통일’ 등을 제시했다.
이 같은 방안의 7대 정책 과제로 △주권과 안보 확실히 지키기 △억지를 바탕으로 협상의 다각화 통해 북핵문제 해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남북관계 정상화 △작은 통일에서 큰 통일로 △동아시아 평화와 유라시아 협력 촉진 △경제외교 업그레이드와 신성장 동력 발굴 △'매력한국' 건설을 위한 '국민외교시대'개막 등을 꼽았다.
그는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인 가칭 ‘국가안보실’을 구축하겠다"며 "이를 통해 정책의 혼선을 방지하고 위기관리에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상당히 약화됐고, 안보정책의 추진에 부처간 혼선이 있어선 안된다”며 “예를 들어 최근 한일 정보보고 협정을 포함해 국정원이나 외교통상부, 국방부와 통일부 등 부처 간 입장차이로 인한 혼선이 있었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컨트롤타워는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중 3자 전략대화와 국제기구(UN) 및 유럽연합(EU)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후보는 남북간 신뢰 증진 방안으로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과 사회·경제적 교류협력의 상호보완적 발전을 통해, 남북관계를 정상화하고 한반도 평화를 굳건히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럽의 평화와 발전을 앞당긴 '헬싱키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서울 프로세스'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뒤, 유라시아 경제협력을 위해 한반도종단철도(TKR)·시베리아횡단철도(TSR)·중국횡단철도(TCR)를 연결하는 '실크로드익스프레스(SRX)'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또 북한의 인도적 문제는 정치적 상황과 구분해 지속적으로 해결하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및 전면적 생사확인을 추진함은 물론, 고령 이산가족을 위한 영상메시지 제작 사업을 완료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남북 교류확대를 위한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를 비롯해 한반도 경제공동체 건설을 위한 '비전 코리하 프로젝트'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통일 계획에 대해 “경제공동체를 건설하여 작은 통일을 먼저 이룬 뒤, 궁극적으로 정치통합을 통한 큰 통일로 나아가겠다”며 “자유민주주의 질서에 기초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계승·발전시켜 통일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