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헌법 선언문’ 강행? 정정 불안 고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1-27 17: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한 일명 '현대판 파라오 헌법'이 강행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집트의 정정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A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무함마드 무르시 이집트 대통령은 새 헌법 선언문 철회는 불가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무르시 대통령은 최고 사법기관 최고사법위원회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 헌법 선언문은 주권과 관련된 사안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한시적이며 사법부의 권한도 침해하지 않는다”며 설득에 나섰다.

그러나 판사들은 새 헌법 선언문에 반발해 2일째 업무를 중단했으며, 기자들도 언론 자유 수호를 내세우며 총파업을 결의한 상태다.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이집트 민주화 운동가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독재를 하려는 대통령과는 타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새 헌법 선언문에 반발하는 시위도 격화되고 있다.

나일 델타 지역 다만후르에선 무르시 반대파가 무르시 대통령의 최대 지지기반인 무슬림형제단 사무실을 공격하면서 15세 소년이 숨지는 일도 일어났다. 이집트 보건부 등에 따르면 헌법 선언문 발표 후 시위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가 2명, 부상자 444명이 발생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집트에 일단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다”며 “무르시 대통령은 가자 지구 평화를 끌어내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한편으론 헌법 선언문 등과 관련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빅토리아 뉼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무함마드 카멜 아무르 이집트 외무장관과 전화통화를 하면서 이집트 정치 상황에 걱정을 표시하고 권력이 한 명에게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이 지난 22일 발표한 새 헌법 선언문의 주요 내용은 △사법기구가 의회 해산 명령 내리는 것 불가 △대통령이 발표하는 법령, 헌법 선언문은 최종적이며 누구도 이의 제기 불가 등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