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에 따르면 동두천시는 지난 60여년 동안 국가안보를 담보로 시 전체 면적의 42%를 미군 측에 제공, 긴 세월 기지촌 이라는 오명 속에서 정부의 각종 중첩된 규제로 개발이 제한돼 파탄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정부는 지난 2004년 10월 주한미군재배치 추진을 위한 한·미간 연합토지관리계획(LPP)에 의해 반대하는 평택시민의 민심을 달래기 위해 18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나 정작 반환되는 동두천시는 아무런 지원대책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동두천시민의 생존권 보장을 요구했다.
또한 미2사단의 기지 전부를 2016년까지 동두천에 반환함과 동시에 평택시와 같은 동등한 예산 및 지원대책을 요구했다.
이날 발표한 성명서는 오는 12일 주요 대선후보자(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에게 전달할 계획이며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정부의 일방적인 계획을 저지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지난 10월에 구성된 동두천시 미군기지 반환촉구 비상대책 특별위원회는 지난달 범국민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관내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내년 1월부터는 전국을 순회하며 국토종단 서명운동에 돌입하는 등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