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10개 은행지주사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월 말 13.07%를 기록했다. 6월 말보다 0.1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기본자본(Tier1) 비율도 0.05%포인트 상승해 10.49%를 기록했다.
은행지주사의 BIS 비율과 Tier1 비율이 상승한 것은 새로운 국제 자본규제인 `바젤Ⅲ‘ 도입을 앞두고 은행 등 자회사가 후순위채권 발행을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BS금융지주는 자회사인 부산은행이 후순위채를 적극적으로 발행함에 따라 BIS 비율이 16.35%로 1.32%포인트 올랐다. 국내 은행지주사 가운데 가장 높아진 것이다.
씨티금융지주, KB금융지주, SC금융지주도 대출 등 자회사의 위험가중 자산이 감소하면서 BIS 비율이 상승했다.
하나금융지주와 농협금융지주는 BIS 비율이 11.59%와 11.16%로 하위권에 속했다. 하지만 당국의 자본적정성 계량평가 1등급(BIS 비율 10%, Tier1 비율 7%) 기준은 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지주사들의 자본 적정성은 양호한 수준이며 보통주자본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관리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