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Ps 기술은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건물 내에서 스마트폰 고도계 센서와 와이파이 신호 정보를 활용, 사용자 위치를 층 단위까지 확인할 수 있다.
층 정보가 포함되는 만큼 평균 50m 내외 오차가 발생했던 기존 기술보다 체감 정확도가 개선된다.
SK텔레콤은 이번 기술을 위해 전국 주요 건물 내 설치된 SK텔레콤 T-와이파이 망을 활용해 각 층 AP 신호 정보를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고도계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경우 단말에서 측정한 기압정보와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해 정밀한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토록 했다.
HPS는 GPS 외에 와이파이 및 기지국 정보를 활용해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오차범위를 평균 50m 내외로 줄였으나, 고층 건물의 경우 층별 위치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을 동일한 평면 위에 표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eHPS는 내달 SK플래닛 위치기반 서비스 친구찾기를 통해 상용화할 예정이다.
eHPS는 정확성이 생명인 응급상황에서의 사회안전망 효용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전망이다.
현재는 고층 건물에서 정확한 층을 알리지 못한 채 급하게 119로 신고를 할 경우 경찰이나 소방당국에서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SK텔레콤의 강종렬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SK텔레콤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건물 내 위치를 층 단위까지 알려주는 eHPS를 선보이게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품질 향상은 물론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는 사회안전망의 효율성 증대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