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박종상 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 및 엠아이텍과 함께 지난 7년간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부로부터 30여 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진행됐으며 현재 동물실험을 거쳐 최근 임상시험을 실시중이다.
복지부는 연간 5억원씩 2년간 10억원을 추가 지원해 김 교수가 고안한 혈액투석용 인조혈관의 전임상 및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인조혈관은 만성신부전 등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자기혈관 상태가 안좋은 10~20%의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중요 의료기기이다.
그러나 인조혈관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협착이 발생해 추가로 풍선확장술 등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인조혈관에 발생하는 협착 예방은 아직 세계 의학계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로 임상시험에 성공할 경우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시험 대상자는 신부전 등으로 혈액투석을 하고 있는 79세 이하의 환자로, 자기혈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인조혈관이 필요한 환자가 주 대상이다.
인조혈관과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은 무료로 진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