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6일 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서울 성북구 정릉동 716-8번지 일대 등 18개 정비예정구역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뉴타운ㆍ재개발 수습방안' 발표 이후 진행된 실태조사에 따른 조치다.
이번에 해제되는 곳들은 뉴타운 출구전략에 따라 진행된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한 뒤 주민 스스로 재개발ㆍ재건축 추진 여부를 결정한 지역이 대부분이다.
대상지역 중 추진 주체가 없는 곳은 토지 등 소유자의 30% 이상이 해제를 요청한 정비예정 구역이다. 추진 주체가 있는 구역의 경우 토지 등 소유자 또는 추진 주체 구성에 찬성한 자의 과반수 동의로 추진 주체가 해산된 곳이다. 추진 주체가 해산된 구역은 구청장이 주민공람 및 구의회 의견청취 절차를 거쳐 해제를 요청했다.
이 중 삼선6주택재개발구역은 2010년 7월 구역 지정이 됐지만 사업성 등 문제로 토지 등 소유자 147명 중 51%인 75명이 추진위원회 해산에 동의해 정비구역이 해제됐다.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이 해제된 18곳의 용도지역ㆍ정비기반시설 등은 정비구역 지정 이전의 상태로 환원된다.
진희선 시 주거재생정책관은 "주민 의견을 반영한 정비예정구역 해제로 앞으로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하게 됐다"며 "해제지역에 대해 주민이 원할 경우 마을만들기사업을 포함한 주거환경관리사업 등 대안적 정비사업으로 전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뉴타운·재개발구역 8곳을 시범구역으로 지정, 첫 실태조사를 실시해 강동구 천호동을 제외한 7곳을 해제한 바 있다.
또 시는 관악구 봉천동 944-1번지(봉천1)와 923-1번지(봉천2) 일대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 125가구를 포함해 총 437가구를 건립하는 환경정비사업계획, 명덕중ㆍ고등학교 기숙사와 체육관을 확충하는 안건도 처리했다.
중랑구 면목동 136번지 일대 면목 패션 특정개발진흥지구 조성계획은 소위원회 재검토를 이유로, 송파대로 지하 주차장 설치안은 유지ㆍ관리와 안전 문제 때문에 심의가 보류됐다.
![]() |
해제지역 분포도 - 18개소(10개 자치구)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