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최근 계약직 창구직원(텔러) 838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신한은행은 현재 근무 중인 계약직 전담 텔러 695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바꾸고 지난해 12월 계약직 텔러로 채용돼 연수 중인 143명도 모두 정규직으로 신규 발령했다. 신한은행은 앞으로 채용하는 모든 텔러를 계약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용할 방침이다.
IBK기업은행은 이달 초 일반 계약직 사원 1132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정년(만 59세) 보장과 급여, 복지 등 처우가 대졸 행원과 비슷해졌다.
그러나 고용 개선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2007년 우리은행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이 비용을 기존 정규직 직원 급여 동결로 충당한 적이 있다.
이에 신한은행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부분은 있지만, 조직효율화를 통해 전체 비용을 줄여 감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되레 정직원 전환을 통한 직원들의 자부심과 사기 향상을 통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올해 예산 배정 시 고용개선 비용도 충분히 반영했다"며 "(일반 계약직 사원을)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비용은 약 20억 정도"라고 대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