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X그룹 장애인 표준사업장 '예그리나'에서 제빵사로 일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이동욱 씨가 빵을 구우며 환하게 웃고 있다. |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체결한 STX그룹이 경영악화의 여파로 장애인 표준사업장 ‘예그리나’도 존폐의 위기에 몰렸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STX그룹이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립한 예그리나는 최근 STX조선해양, STX엔진, STX중공업, 포스텍 등이 자율협약체제에 들어가고 STX팬오션과 STX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모 그룹이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함에 따라 각 계열사의 지원이 사실상 중단될 상황에 몰렸다.
장애인들이 모여 제빵부터 영업까지 책임지는 예그리나에는 현재 13명의 직원중 11명이 청각장애, 지체장애 등을 가진 장애인들이다.
지적장애 3급인 최충만 씨(24)는 “처음으로 정규직이 되어 꿈을 품고 즐겁게 다녔던 회사인데 혹시라도 회사를 나가게 될지 몰라 매일밤 잠이 오지 않는다”며 걱정을 토로했다.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란 10명 이상, 상시근로자 대비 30% 이상의 장애인을 고용하고 편의시설과 최저임금 이상 지급 등의 요건을 갖춘 사업장을 말한다.
STX그룹은 전체 장애인 고용 기업체의 50% 이상이 수도권 지역에 몰려 있는 현실을 반영해, 장애인 일자리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창원에 예그리나를 설립했다.
특히 지난 2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개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자회사 중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현황에 따르면 대기업 가운데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삼성과 LG, 포스코, 그리고 STX 뿐인 가운데, 예그리나가 문을 닫을 경우 가뜩이나 구직난에 허덕이고 있는 장애인들의 취업 문은 더욱 좁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예그리나 관계자는 “앞으로도 ‘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을 하기 위해 빵을 판다’는 취지 아래 장애인을 대상으로 제빵기술 교육과 일자리 제공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후원할 예정”이라며 예그리나의 존속을 위한 지역사회의 각별한 관심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