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 정부가 전국 31개 주요 도시와 함께 스모그를 퇴치하고 대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장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8일 허쉰왕(和訊網)에 따르면 중국 환경부는 지난 7일 전국 31개성(省)급 도시와 ‘대기오염예방목표서약서’를 체결하고 중국 각지의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지난해 9월 국무원이 발표한 ‘대기오염예방행동계획’을 행동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추진된 것으로, 국무원은 각 도시별로 2017년까지 대기오염을 10% 이상 줄일 수 있는 목표와 계획을 제시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전국 31개 성급 도시는 서약서 체결을 통해 10년 평균 초미세먼지(PM 2.5)와 미세먼지(PM 10) 농도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 실천을 약속했다.
상대적으로 스모그 현상이 심각한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허베이(河北)를 비롯해 창장(長江)과 주장(珠江) 삼각주 도시, 충칭(重慶) 등 11개 도시는 PM 2.5 농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20개 도시는 PM 10 농도를 기준으로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베이징, 톈진, 허베이 등 지역은 연평균 PM 2.5 농도를 25%까지 낮추기로 결정했다. 그 밖에 산시(山西), 산둥(山東), 상하이(上海), 장쑤(江蘇), 저장(浙江)은 20%, 광둥(廣東)과 충칭은 15%, 네이멍구(內蒙古)는 10%로 감축 목표를 정했다.
공기오염이 심하지 않아 PM 10 농도가 국제표준에 비해 낮은 하이난(海南), 시짱(西藏), 윈난(雲南) 등은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하기로 했고 나머지 도시들은 PM 10 농도를 5~10% 낮추기로 했다.
이와 함께 베이징, 톈진, 허베이를 포함한 주변 6개 도시에 대해서는 석탄 이용 감축, 낙후된 생산 시설과 보일러 정비, 자동차 배기가스 오염 및 대기중 먼지 관리 등 항목별 목표를 추가적으로 설정했다.
국무원은 이 같은 대기오염 방지 목표를 담은 서약서 이행 실태를 해마다 점검해 목표에 미달한 지역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감독해 나갈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