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로지컬 씽킹의 기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24 14: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HR 인스티튜트 지음 | 현창혁 옮김 | 노구치 요시아키 감수 | 비즈니스북스 펴냄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서울 시내 영화관 수는 모두 몇 개인가?(CJ 그룹), 미국에는 주유소가 몇 개 있는가?(마이크로소프트), 8살짜리 조카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해 보라(구글), 서울 중국집 하루 매출은 얼마일까?(LG 생활건강), 30층 이상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15층까지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은?(P&G)
혹시 질문을 보는 순간 어디서부터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몰라 멍해지지 않았는가?

 이른바 ‘논리적 추론형’질문이라고 하는 이 이색 질문들은 최근 실제 지원자의 능력 평가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치상의 ‘정답’이 아니라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얼마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높은 영어점수와 화려한 스펙이 전혀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분야를 막론하고 우리가 비즈니스에서 늘 벽에 부딪히는 일들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문제는 복합적이다. 넘쳐나는 불확실한 정보들 안에서 남들이 생각지 못한 것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 책은 정답보다 중요한 것은 ‘문제 해결’ 능력이라고 강조한다.전달력ㆍ기획력ㆍ문제해결력을 키워 주는 최적의 생각도구 30가지를 소개한다. 1만4000원. 박현주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