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0/20140310002703230905.jpg)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민간·국책연구소, 학계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차기 한은 총재가 주안점을 두어야 할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 응답자의 59.1%는 ‘경제성장률 제고’를 제시했다. 전통적인 중앙은행 역할인 ‘물가안정’은 31.8%, ‘외환부문 안정을 위한 국제공조 강화’는 9.1%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5%가 올 상반기 중에는 한은의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고, 상반기 중 인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 인상 주장은 12.5%로 나타났다.
미국 양적완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8.5%가 2014년 하반기로 예상했다. 미국 고용지표의 개선이나 실물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미국 경기 회복세가 약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종료시점을 2015년 상반기(39.4%)로 전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0/20140310002737504320.jpg)
미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경제위기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처 방식과 관련해 응답자의 72.7%가 ‘보통이다’라고 평가했고 ‘잘하고 있다’(21.2%)는 평가가 그 뒤를 이었다. ‘미흡하다’는 평가는 6.1%에 그쳤다.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대외불안 해소를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사안으로 최근 한-호주 간 5조원 상당의 통화스왑 계약 체결처럼 ‘원화가치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36.4%)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뒤이어 △내수 위주 산업구조로의 신속한 전환(30.3%)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 방지 노력(21.2%) △신흥시장 수출확대 노력(12.1%) 순으로 답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0/20140310002813722738.jpg)
김용옥 전경련 경제정책팀장은 “대외적으로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세가 중국의 저성장 기조나 신흥국발 경제 불안과 혼재된 상황”이라면서, “이런 불확실한 대외경제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