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마스터스 2014] 마스터스 골프대회는 ‘창조·혁신·마케팅’의 바이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07 00: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4라운드=나흘’·갤러리 스탠드 첫 도입…한 주 대회 위해 51주간 준비…짧은 역사 딛고 ‘최고 메이저대회’로 발돋움

 

2012년 마스터스에서 버바 왓슨 등이 16번홀(파3) 그린을 향해 걸어가고 있다.




[오거스타(미 조지아주)=김경수 기자]

골프에서 ‘그랜드 슬램’은 한 선수가 한 해 열리는 메이저대회를 휩쓰는 것을 일컫는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남녀골프 메이저대회는 4개였다. 그래서 한 시즌에 4개 메이저대회에서 우승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것으로 봤다.

그런데 미국PGA(프로골프협회) 챔피언스투어에 이어 지난해 미국LPGA(여자프로골프협회)투어에서 메이저대회를 다섯 개로 책정했다. 메이저대회수를 늘린 것은 좋았으나, 5개의 메이저대회에서 몇 개를 우승해야 그랜드 슬램이 되느냐는 문제가 발생했다. ‘5개 중 4개만 우승해도 그랜드 슬램이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메이저대회를 다 석권해야 그랜드 슬램이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지난해 박인비(KB금융그룹)가 여자골프 첫 3개 메이저대회를 연달아 제패하자 남은 2개 메이저대회 가운데 하나만 우승하면 된다는 축과, 둘 다 우승해야 한다는 축이 맞섰다. 아직도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다.

4개든, 5개든 현대골프에서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골퍼는 없다. 그러나 지금과 대회가 달랐던 근대골프에서 딱 한 명의 그랜드 슬래머가 있었다. ‘영원한 아마추어’ 보비 존스(1902∼1971·미국)다.

존스는 아마추어 신분으로 1930년 메이저대회 4개(US아마추어·브리티시아마추어·US오픈·브리티시오픈)를 휩쓸었다. 골프 역사상 유일한 그랜드 슬램이다. 어떤 이는 골프의 대기록 중에서 가장 깨지기 힘든 기록으로 존스의 그랜드 슬램과 1945년 바이런 넬슨이 달성한 미국PGA투어 11연승을 꼽는다.

존스의 기록이 위대한 것은 그가 학교공부나 변호사 일을 병행하면서 아마추어 신분으로 대회에 출전했다는 점이다.
골프선수로서 더 이상 오를 곳이 없게 된 존스는 28세 때인 1930년 은퇴를 선언하고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선수생활은 끝냈지만, 그는 애틀랜타 근처인 오거스타에 오거스타내셔널 골프클럽을 건설하기로 했다.

당시 월스트리트에서 이름을 날렸던 클리포드 로버츠가 존스의 파트너로 참여,골프장 건설자금을 조달했다. 또 유명한 코스 디자이너 앨리스터 매킨지가 코스를 설계, 단숨에 세계적 명문 코스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그 오거스타내셔널GC에서 열리는 2014마스터스 골프토너먼트가 10일 시작된다. 세계 골퍼들의 눈과 귀가 오거스타로 쏠렸다.

1934년 제1회 대회를 열었는데 당시 명칭은 ‘오거스타 내셔널 인비테이션 토너먼트’였다. 그러나 언론에서 ‘마스터스’라는 이름으로 대회를 보도하면서 1939년부터 대회 명칭이 마스터스로 굳어졌다.

존스는 은퇴했지만, 대회 명예를 위해 상징적으로 출전했다. 첫 라운드에서는 전년도 챔피언과,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선두에 오른 선수와 동반플레이를 했다. 마스터스는 존스의 명성과 열정에 힘입어 단기간에 독보적인 메이저대회로 자리잡게 됐다. 물론 존스와 함께 마스터스를 운영한 로버츠의 탁월한 경영능력이 없었다면, 오늘의 마스터스도 없었을 것이다.

메이저대회 중에서 역사가 가장 짧은 마스터스가 모든 선수들이 출전하기를 바라는 ‘꿈의 대회’로 자리잡은데는 독특한 마케팅과 이노베이션, 창의력이 있었다. 마스터스는 골프대회 중 최고의 성공작품으로 지금도 연구대상이다.

마스터스는 4라운드 대회를 사흘 대신 나흘에 걸쳐 개최한 최초의 대회다. 마지막날 36홀 플레이를 하는 것은 선수들의 기량을 적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존스의 뜻을 반영한 것이다.

경기 당일 갤러리들에게 선수들의 티오프 시간표를 나눠주고 그린 주변이나 전망좋은 곳에 스탠드를 설치한 일, 페어웨이 가장자리에 로프를 설치해 갤러리의 진입을 막은 것이나 스코어 집계를 위해 전화선을 연결한 일, 1만대 이상의 주차공간을 골프클럽이 직접 보유한 것도 마스터스가 효시였다.

독점 중계방송사인 미국 CBS에 중계권을 팔면서도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웠다. 중계권 가격을 낮춘 대신 광고시간을 최소화하고 광고되는 제품선정까지도 협의토록 하는 권한을 고수했다.

요컨대 마스터스는 대회장에 오는 갤러리나 TV로 시청하는 팬들의 편의를 위해 세심한 부분까지 챙김으로써 단숨에 ‘최고 대회’의 반열에 오른 것이다.

4개 메이저대회 중 매년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것은 마스터스 뿐이다. ‘마스터스 위크’ 한 주를 위해 나머지 51주를 투자한다. 올해도 대회가 끝나기 무섭게 6개월간 휴장하면서 2015대회를 준비한다.

마스터스가 골프대회를 포함한 단일 이벤트로는 세계 최고의 마케팅 능력과 ‘흥행’을 자랑하는 것은 이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발상 덕분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