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산업은행경제연구소는 '스마트카 시장 확대와 국내 ICT 업계의 대응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2018년까지 매년 6.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각국 정부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스마트카를 주목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차량 스스로 미끄럼을 감지해 브레이크 압력과 엔진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타이어의 공기압·온도 등을 적정 상태로 유지해 제동력 등을 향상시켜주는 장치 등의 의무 장착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도로교통공단,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의 자료를 토대로 스마트카가 확산되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사회적 비용이 연간 6조8000억원 줄어들고 사망자는 28%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완성차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에 가깝지만 스마트카 관련 기술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의 자동차용 반도체 상위 25개 업체 중 한국 업체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화율도 1.8%에 불과하다.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업체로는 일본, 대만 업체가 주도하고 있고 국내 업체로는 LG디스플레이가 4위를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