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빌 클린턴(오른쪽) 전 미국 대통령과 힐러리 전 국무장관. [사진 = 중국신문망]]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부인 힐러리가 국무장관으로 재직할 당시 해외 연설을 통해 외국 정부와 기업들로부터 490억 원에 달하는 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돈이 정치적 뇌물에 해당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미국 비영리단체 '사법감시단(Judicial Watch)'과 정치전문지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30일(현지시간) 정보자유법으로 확보한 문서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힐러리가 장관으로 재직 시 국무부가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215건의 해외 연설을 허가했으며 연설료로 4800만 달러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이 방문한 국가는 중국, 러시아, 이집트, 유럽, 대만, 인도 등 전 세계에 걸쳐 있으며 연설 후원 기업도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등 금융기업을 비롯해 기술·에너지·의료·미디어 기업 등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단체는 "힐러리 장관 재직기간에 클린턴 전 대통령이 외국 정부와 다국적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은 적어도 이해충돌에 관한 규정을 노골적으로 무시한 것"이라면서 "최악의 경우 정치적 뇌물을 받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21일 힐러리 전 장관이 지난해 2월 퇴직 후 회고록과 강연, 기업행사 출연 등으로 최소 1200만 달러를 벌었다고 보도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