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의 옴부즈만은 '감찰관'과 '가교'의 성질을 가진 제도다."
이종업 캠코 대외협력위원(사진)은 옴부즈만 제도에 대해 이같은 정의를 내렸다.
채무조정프로그램인 ‘국민행복기금’을 운영하는 캠코는 채무 추심업무를 위탁한 신용정보사에 대해 옴부즈만 제도를 운영한다. 지난달 21일자로 캠코 내에서 옴부즈만 파견자를 뽑았고 옴부즈만은 신용평가사 영업현장에 파견돼 추심 관련 업무에 참여한다.
이 위원은 "옴부즈만을 통해 매년 국회 국정감사 때면 단골메뉴로 올랐던 불법·과잉 추심 문제는 해소하고 채무자 권익은 강화할 수 있다"며 취지를 설명했다. 여기에 캠코와 신용정보사가 옴부즈만을 통해 기존의 위탁 관계에서 서로 협력하는 파트너 관계로 전환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부담은 있다. 캠코에서 신용정보사에 옴부즈만을 처음 파견하는 만큼 시범운영 6개월 간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그러나 고객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제도라고 판단했고, 본인이 기꺼이 나섰다.
캠코에서 30년 남짓 일하며 잔뼈가 굵은 이 위원은 부실채권정리, 신용회복지원, 조세정리 등 다양한 분야를 두루 거쳤다. 이 위원은 옴부즈만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위탁계약 기간 중 1년 단위로 실시하는 중간평가 때에 '옴부즈만 운용성과'를 평가할 계획이다. 또 매달 성과를 짚어보고 우수사례는 공유할 방침이다.
특히 옴부즈만은 업무경험이 풍부한 직원을 선발하는 게 원칙이다. 이 위원은 "고객을 상대하다보면 크고 작은 마찰이 생기기 마련"이라며 "업무경험과 노하우가 옴부즈만 제도의 안착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옴부즈만은 20여 년 이상 다양한 업무를 거친 직원 12명으로 꾸렸다.
제도를 시행한지 보름도 채 안됐지만 일단 신용평가사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박정완 나라신용정보 상무는 "옴부즈만 제도를 통해 신용회복지원 업무와 관련한 캠코의 축적된 업무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며 "결국 옴부즈만 제도는 신용회복 지원업무의 중요도를 높이고 고객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