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미ㆍ러 악재에 2060선 후퇴… 외국인 매수확대 관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8-06 17: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S&P500 지수 추이  [사진=파이낸셜타임스 ]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코스피가 미국ㆍ러시아발 악재에 외국인 매수세가 급감하면서 2060선까지 밀렸다.

최경환 경제팀이 증시에 우호적인 세제개편안 내놓았지만, 약발이 먹히지 않았다. 미국이 조기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와 러시아ㆍ우크라이나 간 긴장감이 심화되는 가운데 투자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았다.

6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0.27% 하락한 2060.73을 기록했다. 장중 2055까지 밀리기도 했다.

기관이 이날만 1300억원어치 매물을 내놓으며 3거래일 연속 매도세를 이어갔다. 외국인 순매수 규모도 600억원 남짓으로 사흘 연속 감소하면서 1000억원대조차 밑돌았다.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1.1%, 홍콩 항셍지수도 0.5% 내렸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종합지수는 각각 0.2%씩 떨어졌다.

일본 증시를 보면 미국 티모바일 인수를 앞둔 소프트뱅크가 4% 가까이 하락했다. 중국 증시에서 차이나유니콤도 2분기 실적 악화로 5% 가까이 떨어졌다.

기획재정부가 이날 경기 부양에 무게를 둔 세법개정안을 발표했지만, 코스피 약세를 막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미 정책이 예고됐던 탓에 주가에 선반영됐다는 관측이다.

되레 미국 경제지표 호전이 악재가 됐다.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어서다. 7월 미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비스업지수는 58.7로 전월 56.0 대비 2.7포인트 뛰었다. 2005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6월 공장재수주도 마찬가지다. 한 달 만에 1.1% 올랐다. 서비스업 PMI 또한 59.1로 개선됐다.

월가는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미 증시에서 매도세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 당국은 올해 안에 3차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이르면 내년 초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점쳐진다.


미 증시는 이런 우려 속에 일제히 급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전일 0.97%,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0.84%, 나스닥은 0.71% 내렸다. 뉴욕 증시는 4일까지 한 주에만 3% 가까이 떨어져 2년 래 최대 낙폭을 보였다.

이아람 NH증권 연구원은 "미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커졌다"며 "이런 우려가 내년까지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러시아도 서방국 제재에 맞서 보복성 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 병력이 우크라이나 동부 접경지역에 대거 증강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 블룸버그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조정 우려가 투자자를 초조하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이영원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미ㆍ러 악재에 대응할 만한 재료를 못 찾고 반등에 실패했다"며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 약세도 투자심리 악화를 부추기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