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지법은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된 A씨에 대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고 17일 밝혔다.[사진=아이클릭아트]
대전지법은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된 A씨에 대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고 17일 밝혔다.
앞서 기내 난동 사건으로 기소된 피고인들이 대부분 벌금형을 선고받아 온 것과 다른 판결로 앞으로 이와 같은 사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내에서 난동을 피우는 이들에게 적용되는 항공보안법 46조와 23조 2항은 항공기 보안이나 운행을 저해하는 폭행·협박·위계행위를 한 승객을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징역형이 선고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지난해 제주발 김해행 항공기에서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고 자리에서 일어나 걸어 다니면서 큰소리로 욕설하고 소란을 피운 C(48)씨는 지난 7월 부산지법에서 벌금 70만원을 선고받았다.
서울지역의 한 형사법관은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례는 항공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는 있었지만 실제로 발생한 피해는 상대적으로 중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법관은 "다만 '라면 상무 사건' 등으로 항공기 난동에 대해 엄격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이제는 과거의 잣대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