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0/15/20141015144450241129.jpg)
2014년 9월 6개 광역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 현황.[자료=KB국민은행 부동산통계]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 대구를 비롯한 전국 6개 광역시의 평균 아파트값이 지난 2008년 말 이후 처음으로 2억원을 돌파했다.
15일 KB국민은행 부동산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6개 광역시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억57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국민은행이 통계조사를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매매가가 2억원을 돌파한 것이다.
올 들어 6개 광역시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3.5%(684만원) 상승해 전국 평균 상승률 2.0%(512만원)를 웃돌았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2%(319만원) 오르는 사이 이들 광역시는 9%(1660만원) 상승해 격차가 더욱 컸다.
지역별로는 대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2억138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부산(2억1360만원), 울산(2억407만원), 인천(2억148만원)도 2억원을 넘었다. 대전과 광주는 각각 1억9776만원, 1억5653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매매가가 1억9670만원으로 6개 광역시 중 가장 낮았던 대구는 9개월여만에 판도를 뒤집었다. 대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올 들어 8.7%(1716만원) 상승했으며 2년 전에 비해 26.1%(4435만원), 3년 전에 비해 35.2%(5563만원) 올랐다.
대구의 아파트값이 급격히 상승한 것은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것이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건설사들은 수도권 주택시장의 약세를 피해 지방으로 눈을 돌렸다. 2008~2011년 부산, 대전 등에 공급이 급증하면서 투자 수요가 가세해 해당 지역의 매매가가 급등했다. 반면 대구는 2005~2007년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미분양이 속출했고 이 여파로 2010년까지 침체기를 맞았다. 이후 2011년부터 미분양이 해소되면서 오히려 물량이 부족해져 매매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대구 지역의 부동산 과열 분위기가 조만간 가라앉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1~2년간 대구에서 분양한 아파트 물량이 많아 아파트가 완공되고 본격적인 입주가 시작되면 공급 과잉으로 가격 조정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