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형욱 기재부 재정업무관리관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광림 새누리당 의원이 주최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선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이런 내용의 예타조사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기재부는 그동안 예타·타재·예타 면제 결과에 대한 각종 자료의 국회 제출 시기와 방법이 각각 달라 불필요한 행정비용이 있어왔다며 앞으로는 관련 자료를 예산안 제출 시기인 9월에 일괄적으로 제출하고, 제출 서류는 요약보고서로 간소화하기로 했다.
또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규모를 총사업비 기준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낙후지역 배려 강화를 위해 예타 종합평가시 지역균형발전 가중치 하한선을 20%에서 25%로 상향 조정하는 등 지난 8월 발표한 개선 방안 내용도 함께 설명했다.
이성모 서울대 교수는 "총사업비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할 때 대규모 투자사업인 도로·철도사업에 한정하는 것이 적정하며, 총사업비와 국고 지원 규모의 상향 조정으로 사업 규모를 축소하거나 시차를 두고 단계별로 조정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회피하려는 방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