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한주용·양정훈 교수 ARB약물 효과 입증... 급성 심근경색 새 치료제 나오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08 10: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삼성서울병원은 한주용·양정훈 순환기내과 교수팀이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가 사망률을 낮추고 심근경색 재발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심기능이 보존돼 있는 환자(심박출량 ≥40%)를 대상으로 ARB 약물이 표준치료제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와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처음 규명했다. 이에 따라 대체약물로서 ARB계열 약물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다.

그동안 급성 심근경색 환자가 발생하면 환자의 막힌 심장혈관을 뚫어준 뒤 ACEi계열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표준적 치료였다.
심근경색의 재발을 막고 심장 기능의 보존 및 회복을 통해 궁극적으로 심혈관계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다.

문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인 환자에게 ACEi계열 약물을 투여했을 때 10명 중 5명이 마른기침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들 중 마른기침이 심한 경우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일상생활 중 말을 하는 것조차 힘들다고 호소를 환자도 많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ARB계열 약물을 환자들에게 투여해 왔으나 학계에서 심근경색 환자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교수팀은 심기능이 보존돼 있는 환자의 경우 ARB계열 약물이 ACEi계열 약물과 동일한 효과를 거두면서도 마른기침과 같은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과학적으로 밝혀냄에 따라 앞으로 이러한 논란은 불식될 것으로 기대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53개 기관에서 등록된 ST분절 상승 급성 심근경색 환자로, 응급치료를 받고 심기능이 보존된(심박출량 40% 이상) 환자 6698명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ARB계열 약물을 쓴 환자 1185명 중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근경색이 재발한 경우는 1.8%(21명)로, ACEi계열 약물을 쓴 환자군의 비율 1.7%(4564명 중 77명)와 비슷했다.

이들 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들의 경우 3.5%(949명 중 3.5%)가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근경색이 재발한 것으로 나타나 ARB 또는 ACEi 계열 약물을 복용한 그룹에 비해 2배 가량 높았다.

한주용 교수는 “우리나라와 같이 ACEi계열 약물 사용 후 기침 등의 부작용이 많은 경우 ARB계열이 많이 사용돼 왔는데 이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마련함에 따라 보다 많은 심근경색 환자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