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30/20141230135542877297.jpg)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맨 왼쪽)
30일 문 위원장이 취임 100일을 맞았다. 전임자인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에 대한 당내 강경파의 반발이 극에 달한 지난 9월 19일 ‘구원투수’를 자처하며 당 전면에 나선 문 위원장은 그간 최대 과제인 ‘당의 안정화’를 꾀했다.
실제 새정치연합은 올해 초 486그룹을 중심으로 한 ‘전병헌 원내대표’ 조기사퇴 연판장 사건에 이어 ‘박영선 파동’까지 일어나면서 그야말로 쑥대밭이 됐다. 60년 정통의 제1야당이 계파 갈등 프레임에 갇힌 셈이다.
하지만 문희상호(號) 출범 이후 친노(親盧·친노무현)그룹과 비노(非盧·비노무현)그룹 간 갈등은 물론 당 내부에 “더 이상의 분열은 안 된다”는 분위기가 퍼졌다. 박영선 파동으로 한때 30% 중반에 달하면 지지율이 10%대로 하락한 점도 컸지만, 문 위원장의 ‘포청천(중국 송나라 시절의 강직하고 청렴한 판관) 리더십’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30/20141230140128222027.jpg)
국회 본청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 위원장은 취임 직후 “기율(紀律) 없는 당은 당이 아니다”라며 군기 단속에 나섰고, 권한 없는 기구로 전락한 당 윤리위원회를 당기위원회 수준으로 격상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취임 첫 당직자 조회에서도 ‘기강 확립’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지난 15일 평당원협의회 소속 일부 관계자들이 당의 공식 회의기구인 비상대책회의를 막기 위해 국회 당 대표실 단상을 점거했을 때도 ‘윤리위 제소’ 방침을 밝히는 등 위기 때마다 강력한 리더십을 통해 통제했다.
그러자 당의 지지율은 상승 국면을 탔다. 박영선 파동이 일파만파로 확산된 9월 첫째 주 정당 지지율이 19.5%(이하 리얼미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까지 하락했지만, 11월 넷째 주 24.2%로 치솟았다. 약 두 달 만에 정당 지지율이 5% 포인트 상승한 셈이다.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12월 한 달 동안 ‘22.7%, 22.9%, 24.1%, 22.7%’ 등을 기록하면서 비교적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문희상 체제에서 △신임 원내대표 선출(10월 9일) △여야 세월호 3법 합의(10월 31일) △새해 예산안 처리(12월 2일) △300여건의 민생법안 처리 (12월 9일) △148개 민생법안 처리 (12월 29일) 등의 과제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적잖은 성과인 셈이다.
취임 한 달을 맞은 지난 10월 22일 “백천간두(百尺竿頭)의 당을 구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떨치지 못했다”고 밝힌 그는 취임 100일을 맞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최고의 정치혁신은 실천”이라며 박근혜 정부와의 맞짱 승부로 제1야당의 위상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핵심 과제가 ‘당의 안정화’에서 ‘당의 혁신을 통한 수권정당화’로 전화된 셈이다.
문 위원장은 “야당다운 야당, 성숙한 야당이 되기 위한 대전제는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며 “앞으로 선거구획정 등 선거개혁,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남용방지법 등 국회 개혁의 추진 과제는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통해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문재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의 양자 구도로 치러지는 2·8 전국대의원대회의 공정한 관리는 문 위원장의 남은 과제로 꼽힌다. 문 위원장도 이를 의식한 듯 “이제 비대위가 할 일은 공정한 전당대회 준비로 ‘통합과 혁신의 새로운 리더십’을 선출하는 것”이라며 “또 미완으로 남겨진 정치혁신 과제의 제도화를 통해 혁신을 완성해 나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박근혜 정부를 향해 “지난 2년은 꿈과 희망이 사라진 ‘상실의 2년’이었다. 국민경제는 꽁꽁 얼어붙고, 민주주의는 후퇴됐으며 남북관계는 6.25 이후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며 “국민이 선택한 시대정신인 경제민주화는 온데간데없고, 복지는 지방정부와 국민에게 떠넘겼다”고 대대적인 대여공세를 예고했다.
문 위원장은 청와대 비선실세 의혹과 관련해 “몇몇 비선실세들의 국정농단으로 국정운영의 공적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됐다”며 “박근혜 정부, 이제 3년 남았다. 지난 2년처럼 보낼 수는 없다. 전면적 국정쇄신이 필요하다”고 박 대통령을 압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