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일본이 스마트폰 주파수 포화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중국 등과의 연합전선 구축을 추진하는 것으로 밝혀져 한국 정부가 어떤 입장을 표명할지 주목된다.
11일 아주경제 단독 취재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일본 교토(京都)에서 개최 중인 아시아태평양무선그룹회의(AWD)에서 세계적으로 포화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주파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75기가 헤르츠(GHz) 이상의 초고주파수에 대한 통신기술 표준화를 한국, 중국 등 참가국에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제안은 일본의 장기적인 주파수 확보 계획에 따른 것으로 한국 등 각국 통신 당국의 역학관계에 따른 반응이 어떻게 펼쳐질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9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진행되는 AWD회의에는 한국, 중국, 동남아지역 국가 등 25개국이 참가하고 있다.
주파수 전파에 대한 사용 용도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결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주파수 마다 스마트폰, 방송, 위성통신용 등으로 지정된다. 일본이 제안한 275GHz 이상의 초고주파수에 대한 용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2019년까지 ITU가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총무성 관계자는 아주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제안은 포화상태인 스마트폰 전용 주파수로 이용할 경우 편리할 수 있다는 정부 내 검토로 이뤄진 것”이라고 밝히고, “지금 당장이 아닌 장기적인 안목에서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현재 국내 주파수는 3G망의 경우 와이파이로 분산하는 등 조치를 취했으나 이미 포화상태이며, 4G망도 일부 도심 밀집지역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광대역 주파수에 가장 적합한 700메가헤르츠(MHz) 주파수를 두고 통신과 방송이 쟁탈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275기가헤르츠(GHz)이상의 초고주파수는 현재 미국이 군사용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시키고 있다. 일본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지역 국가가 공동으로 ITU에 주파수 사용을 신청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일본의 제안에 대해 “아직 공식적으로 일본으로부터 제안을 받지 않았으나 (제안이) 있을 경우 논의는 해볼 수 있다”면서도 “일본 총무성이 연구 결과 얻어낸 제안으로 보이나, 각국의 주파수정책이 달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