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학부교육 선도모델의 창출․확산을 지원하는 2015년도 학부교육 선도대학(ACE) 육성사업 시행계획을 17일 확정․발표했다.
ACE사업은 2010년부터 매년 대학을 선정해 4년간 지원하면서 학부교육 선도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하는 사업으로 대학의 비전․인재상 등 자체 발전계획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체계, 교육지원 시스템 등 개선을 지원하는 가운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7개 대학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계속 지원 대학 16개 학교, 올해 선정 대학 13개 학교를 포함한 29개 학교를 지원한다.
올해는 수도권 5~6개 학교, 지방 8~9개 학교 등 13개 학교를 선정한다.
지원액은 1학교당 평균 20억원 수준을 지원하되 대학별 규모를 고려해 차등 지원할 예정으로 재진입 대학의 경우 신규진입 대학 사업비의 70% 수준을 지원한다.
평가원칙은 대학의 소재지(수도권/지방) 및 대학 규모(대규모/중소규모)를 고려하여 평가 패널을 구분해 평가한다.
평가는 1단계 서면평가, 2단계 현장평가, 3단계 최종심의로 진행한다.
전년과 같이 1단계에서는 신규진입 신청 대학과 재진입 신청 대학을 구분해 서면평가로 약 2배수를 선정하고, 2단계 현장평가 및 3단계 최종심의는 신규/재진입 구분 없이 평가해 선정한다.
지난해 재진입 탈락대학 5곳은 신규진입 신청 대학으로 분류해 평가하되 해당 대학은 과거 실적 기재 시 기존 ACE 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실적을 구분 작성하도록 해 평가에 반영한다.
평가지표는 기본교육여건 30%, 학부교육 발전 역량 30%, 학부교육 발전 계획 40%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고 정량지표는 30%, 정성지표는 70% 수준이다.
평가의 일관성 및 기존 평가 기준을 신뢰한 대학의 신뢰 보호 차원에서 대학 정원감축 규모는 지난해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대학별로 지난해에 수립한 계획을 활용한 평가를 실시해 대학의 추가적인 부담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달중 사업 공고 및 사업설명회를 마치고 내달 20일까지 대학별 신청서를 접수받아 서면평가 및 현장평가를 거쳐 6월말까지 올해 ACE 사업 지원 대학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ACE사업은 각 대학이 비전․인재상․핵심역량 설정과 연계한 자율적 학부교육 발전모델을 수립․구축하고 기초교양교육대학 설치․운영 및 인문소양 중심 교양교육과정 개편을 추진하는 한편 학교 특성 및 발전계획에 따라 전공교육과정을 내실화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교수법 연구회, 학습공동체 지원 등을 통한 교수-학습지원 체계 개선, 교육인증제 실시 등 학부교육의 질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