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30/20150430091056953697.png)
[식약처 로고 ]
시험법은 사람의 각막을 이식한 후 남은 세포를 배양해 사람의 눈 조직과 거의 유사하게 만든 각막조직모델을 이용, 시험 회수의 제약 없이 눈에 대한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기존에 토끼를 이용한 동물시험에서 측정했던 눈에 대한 자극 정도 뿐 아니라 각막조직모델 세포의 생존율도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이 생존할수록 성분의 위해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안전평가원은 지난 2013년부터 ‘화장품 안전성평가 동물대체기술개발 연구사업단’을 운영해 개발에 성공했다. 시험법은 지난 1월에 독성학 분야의 국제 전문학술지인 ‘Archives of Toxicology’에 수재됐다.
식약처는 이번 시험법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인증하는 국제공인 화장품 눈 자극 시험법 가이드라인 기준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검증연구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