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미 상·하원 합동 연설을 미국 찬양 일색으로 진행하면서 위안부나 과거사에 대해서는 전혀 사죄를 하지 않아 그의 이중적인 태도가 국제사회의 도마에 올랐다.
아베 총리는 29일(현지시간) 연설에서 2차 대전 당시 미국 진주만 기습을 거론하며 “깊은 경의와 영원한 위로”를 표명한 반면 한국 등 주변 피해국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의 사과없이 “아시아 국가 국민에게 고통을 줬다”라는 두루뭉술한 표현만 내뱉었다.
이는 미·일 방위협력지침 개정으로 일본 자위대의 군사활동 범위에 날개를 달아준 미국에게 크게 고개를 숙였지만 진정한 과거사 사죄를 요구해온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목소리에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은 모습이다.
아베 총리는 과거 태평양전쟁을 유발한 일제의 진주만 기습을 언급한 뒤 “나는 (2차세계 대전 당시) 젊은 미국인들의 잃어버린 꿈과 미래를 생각했다”며 “일본 국민을 대신해 2차 세계대전에서 숨진 모든 미국인의 영혼에 깊은 경의와 함께 영원한 애도를 보낸다”고 말했다.
일본의 진주만 공격에 대한 미국인들의 트라우마를 고려, 가장 강도 높은 용어들로 태평양전쟁에 대해 사과하고 희생자를 위로한 것이다. 미·일 동맹 등 자국의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아베 총리의 셈법이 그대로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러나 그는 아시아 주변 피해국에 대해서는 “태평양 전쟁에 대한 깊은 회한(후회)의 마음으로 전후를 시작했다”면서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 각국 국민들에게 많은 고통을 가져다 주었다”고만 밝혔다. 구체적인 사과 표현 없이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는 의미의 ‘회한’, ‘후회’라는 말을 하는 데 그친 것이다. 더욱이 ‘침략전쟁’이라는 명확한 용어 대신 ‘우리의 행동’이라는 모호한 용어를 썼다.
그는 이어 “나는 이와 관련해 이전 총리들이 밝혔던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하면서 전쟁에 대한 반성과 전직 총리들의 견해를 계승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돼 있던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언급은 아예 없었다. 아베총리는 오히려 ‘인간 안보’의 중요성을 거론하는 부분에서 뜬금 없이 “전쟁은 늘 여성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만든다”고 말해 위안부 문제를 일반적인 차원의 전시 여성 인권 문제인 것처럼 호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과는 커녕 뜬금없이 ‘일본의 한국근대화 기여론’을 들고 나오기도 했다. 그는 1980년대 한국·대만·중국 등의 경제발전을 언급하며 “당시 일본은 이 국가들의 성장을 위해 자본과 기술을 열정적으로 쏟아부었다”고 말해 한국의 ‘한강의 기적’에 대한 일본의 기여도를 강조했다.
그는 또 자신의 외조부이자 일본의 전 총리를 지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를 ‘A급 전범’에서 미·일동맹의 원조 주역으로 칭송, “조부의 말대로 미국과 동맹이 된 것은 일본이 올바른 길을 선택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시 전 총리는 일본의 패전(1945년 8월)과 동시에 A급 전범 용의자로 복역하다 1948년에 석방됐다. 이후 반공 전선 구축을 중심에 둔 미국의 대일 정책 아래 1957년 총리직을 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