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美 관세 취약 산업 지원에 4.4조원 투입키로

  • 美, 이번주 對대만 관세율 발표 전망

  • 대만 산업계, 트럼프 관세 대응해 인력 감축 등 조치

대만 북부 지룽 항구에 대만 해운 선사 양밍해운의 컨테이너선이 정박해있는 모습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대만 북부 지룽 항구에 대만 해운 선사 양밍해운의 컨테이너선이 정박해있는 모습.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대만 간의 무역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대만 정부와 업계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대만 경제전문매체 징지르바오는 “대만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이번주에 공개될 예정”이라면서 “대만은 일본과 한국보다 낮은 관세율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부와 업계는 여전히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입법원(국회)은 최근 산업계 지원을 위한 930억 대만달러(약 4조4000억원) 규모의 특별예산이 포함된 ‘국제 정세 대응 경제·사회·민생·국가 안보 회복탄력성 강화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이자 보조금, 임금 보조금, 노후 장비 교체 보조금을 투입해 산업계를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특히 관세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계, 자동차 부품, 금속, 고무, 플라스틱 등 중소 제조업체에 대해서는 고용 안정 대책을 시행하고 관세 대응을 위해 무급휴가에 처한 근로자들을 위해 150억 위안 규모의 임금 보조금을 배정할 예정이다. 

정리쥔 대만 부행정원장은 미국 측과 네 번째 실무 협의를 마치고 이날 귀국하는 가운데 일본이 미국과 15% 관세율로 무역합의를 타결하면서 대만 정부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징지르바오는 짚었다. 

업계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대만 제1야당 국민당 정책위원회와 산하 국가정책재단이 238개 자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5% 이상이 사업 확장 계획을 보류했고, 5%는 트럼프 관세에 대응해 이미 인력 감축에 나섰다. 또 대만 기업 절반 이상이 관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콴충밍 전 대만국립대 총장은 "관세가 공식적으로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조사 대상 기업의 5%는 이미 해고를 시작했고, 25%는 확장 계획을 중단했으며 23%는 생산능력을 이전할 계획"이라면서 "이는 기업들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를 앞세워 미국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궈지후이 대만 경제부 장관은 앞서 일본이 미국과 관세협상을 타결하기 전, TSMC가 애리조나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미국 정책 우선순위에 맞추려는 노력을 언급하며 "이는 일본과 한국에는 없는 부분"이라면서 "우리는 대만의 관세율이 더 유리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더 나은 조건을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