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겸 KB국민은행장(왼쪽)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국민은행 구로종합금융센터 창구를 둘러보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8일 시중은행 중 기술신용대출 실적이 가장 높은 KB국민은행의 실적 1위 지점인 구로종합금융센터를 방문해 "기술신용대출 증가속도가 빨라지면서 은행의 리스크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기적인 모니터링, 리스크 분석, 경영진 보고체계 수립 등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체계가 구축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술신용대출 연체율이 0.02~0.03%에 불과하지만 사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 위원장은 "기술신용대출은 제대로 시행하면 은행 건전성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도"라며 "그동안 은행이 대출심사 시 기업의 재무정보만 봤다면 기술신용대출을 통해 기술정보를 함께 고려해 보다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의 실제 현황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기존 중소기업대출을 기술신용대출로 전환한 꼼수에 대해 "기존 거래기업에 대한 단순 대환, 만기연장은 기술금융 실적평가에서 제외하고 기업여신 심사의견 작성 시 기술심사 의견을 반드시 적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신용대출 정착 로드맵을 수립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은행이 자체적인 기술신용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 임 위원장은 "지식재산권(IP) 평가기반 금융 확대, 기술형 모험자본 활성화 등을 통해 기후변화기술(Clean-tech) 금융과 같이 보다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금융지원도 확대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은행의 기술신용대출 규모는 4조3000억원으로 전체 기술신용대출 공급액 25조8000억원 중 16.6%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시중은행 중 1위 및 전체 은행 중 IBK기업은행에 이은 2위에 해당한다.
국민은행 구로종합금융센터는 지난 10개월여간 총 31건, 406억원 규모의 기술신용평가 기반 대출을 실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