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에는 공공기관 71곳과 교육기관, 병원, 복지기관을 비롯해 2000여 곳의 집단급식소가 있다. 집단급식소는 영리 목적이 아닌

▲강영수 전북도의원
전북도를 비롯한 서울, 대구 등 7개 광역시·도에서는 매월 1~3회 집단급식소 휴무를 실시해 공공기관 주변 음식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어려움에 처한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숨통을 터주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도내 14개 시·군 중 남원시와 완주군 등 5개 지자체는 휴무제를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시·군은 월 1회이거나 형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 의원은 오는 11일 제32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송하진 도지사와 김승환 도교육감을 상대로 ▲학교급식소 및 복지기관 등을 제외한 도내 71개 공공기관의 집단급식소 휴무제 도입 장려 방안, ▲집단급식소 지역 농수산물을 우선 사용해 지역 농수산물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 방안, ▲학교 집단급식에서 우리지역 농산물 권장 방안 등을 도정 및 교육학예행정에 관한 질문을 통해 이를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2003~2012년까지 전북지역 자영업 폐업은 27만여 건에 달하는 가운데 이들의 소득은 강원, 전남에 이어 전국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