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해양부문 키운다는데… 발목 잡힌 빅3, 이대로 주저앉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28 16: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세계 최대 규모의 원통형 FPSO[사진=현대중공업 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빅3(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로 대변되는 우리나라 대형 조선업체들이 해양플랜트 부문 부실로 대규모 영업손실이 예상되면서 해양부문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반면 중국은 해양플랜트 산업을 6대 신흥 산업에 포함시켜 국가차원 지원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쟁력 역전에 대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업황 부진과 대규모 부실은 ‘성장통’과 ‘혹독한 수업료’로 봐야 한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는 병행돼야 한다는데 입을 모으고 있다.

28일 조선업계와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해양플랜트가 포함된 6대 신흥산업 중점 육성에 관한 통지문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관련 부처 및 지방정부와 함께 오는 2017년까지 육성방안을 실행에 옮긴다는 계획이다. 반대로 우리나라 조선업계는 대규모 적자가 해양부문에서 나오고 있는 만큼 영업을 줄이는 등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돌입했다는 소문도 돌고 있는 상황이다. 만일 중국이 자금력을 바탕으로 해양플랜트 시장에 막대한 지원에 나설 경우 우리나라가 그간 자력으로 쌓아온 경쟁력도 일순간에 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해양플랜트의 경우 엔지니어링(설계)과 주요 기자재 도입에 대한 권한은 선주사측이 정하는 구조로 물량을 수주한 조선사 입장에서는 단순히 설치작업에 나설 뿐이다. 우리나라 조선사들의 손실 이유는 경험부족으로 인한 공기지연이 가장 크다. 그럼에도 혹독한 비용을 치루며 플랜트 건조 노하우를 쌓아온 우리나라 업체들은 꾸준히 기자재 국산화도 추진해오고 있는 상황인데 이들 모두 공치사로 전락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대형 조선소 관계자는 “현재 저유가로 인해 해양플랜트 산업이 주춤해 있어 해양사업을 인위적으로 축소하거나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진 않고 있다”며 “하지만 장기화 될 경우 어느정도 비중 조절은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선업계는 해양플랜트는 장기적 관점에서 조선업체가 무조건 가져가야 할 미래성장 먹거리라는데 입을 모은다. 이는 기술력이 없으면 건조가 힘든 VLGC(초대형액화천연가스운반선) 가격이 척당 2000억원 수준이라면 해양플랜트 설비는 조(兆)단위가 넘는데서 알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해양플랜트는 국내 조선업계가 가져가야 할 미래산업으로 육성에 나선다면 단순히 조선업계가 아닌 기자재 업체들도 수혜가 이어져 산업계에 있어 큰 시너지가 기대된다”면서 “현재 업체들은 기초설계와 기자재를 국산화 하기 위해 노력중이며 해양설비 건조에 있어 그간의 실패를 밑거름 삼아 기술력을 높여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양부문이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해양부문을 중국에 내준다면 다시 찾기 어렵고 이는 곧 국내 조선소들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