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재인, 서로 '빅딜''러브콜' 보내고 끝내 '손사래'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06 07: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미국 방문을 마치고 온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여름휴가를 끝낸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5일 서로에게 '러브콜'을 보냈지만 둘다 그 제안을 거부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사실상 '빅딜'에 가까운 러브콜은 문재인 대표가 먼저 보냈다. 문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선거구 획정기준 등 3가지를 여야가 함께 논의해 일괄타결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선거구를 재획정하는 이번 기회에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결정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 시행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논의 방식은 국회 정개특위든 여야 대표가 만나든 어떤 형식이든 좋다"고 말했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온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여름휴가를 끝낸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5일 서로에게 '러브콜'을 보냈지만 둘다 그 제안을 거부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사진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에게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일괄타결을 주장하는 모습.[사진제공=새정치민주연합]


특히 문 대표는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를 수용한다면 우리 당도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를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지부지한 여야 정치개혁 논의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국회의원정수 유지'를 전제로 두 제도의 '빅딜'을 공식 제안한 것이다.

또한 "우리 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의원 정수 확대없이 현행 의원 정수를 유지하면서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 배분만 조정하는 선관위 안에 찬성한다"며 "여야가 각자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 중심으로 통크게 합의할 것을 제안한다. 새누리당의 조속한 호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무성 대표는 이같은 제안에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개혁적 제도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어떤 한 개혁을 위해 다른 부분을 붙여서 한다는 것은 조금 수용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특히 그는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각각 공천, 선거구제와 관련된 이질적 사안이라는 지적과 관련 "그러니까 별개의 문제"라며 빅딜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이어 사견을 전제로 "비례대표를 확대하는 것은 정치 발전에 도움이 안된다"면서 "비례대표가 원래의 취지대로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왔다"며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다.
 

5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중진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여권의 정치개혁과 노동개혁에 대한 여론 지지도가 높다며, 야당의 동참을 촉구하는 러브콜을 보냈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대신 김 대표는 여권의 정치개혁과 노동개혁에 대한 여론 지지도가 높다며, 야당의 동참을 촉구하는 러브콜을 보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여의도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한 지지율이 71.5%, 국회의원 정수 문제는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67.1%, 정치개혁 방안 가운데 공천 문제와 관련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대한 찬성률이 69.8%"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이런 국민들의 정서에 따라 정치를 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며 "정치개혁을 여야가 국회에서 동시에 같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야당의 동참을 촉구했다. 그러면서도 "야당이 개혁을 먼저 선도해야 하는데 오히려 반개혁적으로 나가는 데 대해 참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새정치연합의 전향적 변화를 주문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 또한 이같은 요청을 사실상 거부했다. 문 대표는 이날 당 회의에서 롯데 경영권 분쟁 사태를 지적하며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박근혜정부가 경제민주화 공약을 파기하고 제대로 안 지켰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재벌 지배구조가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는데도 경제민주화 공약은 법안도 없이 사라졌다"면서 "노동개혁은 재벌개혁과 함께 해야 한다. 재벌개혁 없는 노동개혁은 노동자들에게 고통주는 반(反)개혁"이라고 김 대표의 반개혁적 비판에 맞불을 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