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중국발 '위안화 쇼크'...美 금리인상 ‘게임체인저' 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2 14: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사진 = 중국신문사]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발 '위안화 쇼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에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가 미국 통화정책에 미칠 파급여파에 대한 시장의 시각도 엇갈리면서 9월 금리인상 여부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갑작스런 위안화 평가절하가 오랜 기간 금리정상화라는 긴축통화정책을 구상해온 연준의 셈법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1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위안화 가치 하락이 달러 가치의 상승과 미국 수입물가의 하방압력 가중이라는 두 가지 결과를 유발, 연준의 금리인상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펜뮤추얼에셋매니지먼트의 런즈웨이 매니징 디렉터는 "위안화 평가 절하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물건 값이 싸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달러화 강세를 부추겨 연준에 더 큰 도전을 안겨줄 것이며, 이로써 9월 금리인상 가능성도 낮아지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ADS증권의 알 함무리 시장 전략가는 "중국의 이같은 조치는 재닛 옐런 연준 의장과 연준에 더 큰 고민을 안겨줬다"면서 "추가 달러 강세가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9월 금리 인상을 미룰 수도 있다"고 평했다. 

이같은 관측을 반영하듯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FF) 금리선물이 나타내는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45%로 전일 53.5%보다 낮아졌다. 아울러 미국 물가 연동 국채 (TIPS)가 나타내는 향후 10년간의 평균 인플레이션 전망치 또한 1.64%로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미국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안화 평가절하가 금리인상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보는 시각도 적지않다. 

뱅가드 그룹의 로저 알리아가-디아즈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기적 관점에서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가 (미국 금리인상 결정에) 게임체인저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JP 모건 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이같은 조치로 연준이 역풍을 맞았지만 (금리인상)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만큼 강하지는 않다"면서 "연준이 내달 10년여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판단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니몽고메리스콧의 가이 르바스 수석 전략분석가는 "향후 수개월동안 위안화 절하가 미국 경제지표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이 첫 금리인상 시기를 지연시키기보다는 인상 이후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연준은 내달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며, 이 자리에서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와 이에 따른 영향 등이 추가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