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영일 기자 =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 1차 승패를 대내외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의 임시 주주총회가 17일 일본 현지에서 개최된다.
이번 주총은 한국 롯데는 물론 일본 롯데그룹의 정점에 있는 사실상 지배 주주사의 회의다.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지난달 27일 신격호 총괄회장을 앞세운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쿠데타 이후 신동빈 회장의 입지를 일반 주주에게까지 확인하는 자리가 된다.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인 신동빈 회장의 뜻에 따라 나머지 이사들이 동의해 열리는 이번 주총 안건은 그동안 알려진 것과 달리 △사외이사 선임과 △기업지배구조 등 두 가지로 확정됐다.
신동빈 회장 측의 예상 안건이었던 '신격호 총괄회장의 명예회장 추대를 위한 정관 변경'이나 신동주 전 부회장이 추진하려던 '신동빈 회장 등 이사진 해임·기존 이사진 복귀' 같은 핵심 쟁점은 정식으로 상정되지 않았다.
일본 롯데홀딩스 측은 이에 앞서 “이번 임시 주주총회에서 기업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기업 통치체제)와 '컴플라이언스(compliance·규범 준수) 경영'을 강화하는 안건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경영권 분쟁 관련된 내용이 아니라 기업 투명성 강화를 위한 내용으로 정해 신 회장의 명분을 확보하고 일본 롯데홀딩스 장악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주총 결과에 따라 신동빈 회장의 행보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신 회장이 제시했던 안건들을 모두 무난하게 통과시켰을 경우 그가 지난 11일 대 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던 △일본 계열 회사 측의 지분 비율 축소 △순환출자를 비롯한 지배구조 개선 △경영 투명상 제고 조치 등이 탄력을 받게 된다.
신 회장은 롯데그룹 산하 정책본부가 작성한 ‘롯데그룹 상황 설명 자료’를 통해 “기업 지배구조 개선 차원에서 전문 경영인 체제를 강화, 오너 일가가 등기 이사를 맡는 회사를 현재 16개에서 10개로 줄이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도 사외이사 선임 안건을 상정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동안 신 총괄회장의 반대로 한 명도 없었던 사외이사를 자산 규모 5000억원 이상 비상장 계열사에 모두 둬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또 그룹 내 얽히고설킨 부적절한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FT) 구성’과 ‘기업문화 개선위원회’ 등의 설치와 운영도 빠르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추락한 기업 이미지를 어느 정도 쇄신 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번 주총의 원만한 해결은 신 총괄회장과 신 전 부회장의 의지를 꺾을 수 있는 절호의 찬스로 ‘원 롯데 원 리더’ 체제가 기정사실화 되면서 향후 반(反) 신동비 세력의 반격에도 유리한 이치를 선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하지만 신 회장 등이 우려하는 상황이 이날 주총에서 벌어져 상황이 반전되는 경우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 경우 꼬일 대로 꼬인 롯데그룹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된다.
신 회장의 구상은 사사건건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국내 여론 악화도 피할 수 없게 된다.
지난 7일 일본으로 건너갔던 신 전 부회장은 지난 10일 신 총괄회장의 위임장을 첨부해 일본 정부 기관에 제출했던 'L투자회사' 9곳 (L1~3·7~12)에 대해 이의신청 성격의 새로운 변경등기 신청은 자연스럽게 새 이사진에 의해 구성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또 신 총괄회장이 내렸던 한국 롯데그룹 임원에 대한 해임이 실현되는 등 신 회장은 사실상 신 전 부회장과 일가족에 의해 야인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선 신 전 부회장이 이번 주총에선 아무런 움직임도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고 있다.
신 전 부회장이 우호지분 확보에서 열세라는 점을 인지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이미 제기한 L투자회사 변경 신청 여부와 언론을 통해 공개했던 신 총괄회장의 임명서 등의 실효성이 지루한 법정으로 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한편 한국 롯데그룹 관계자는 "절반을 훨씬 넘는 주주들이 신 회장을 지지하고 있어서 통과에 문제가 없다"며 "이번 주총에서 안건이 통과되면 신 회장이 사실상 승리한 것이기 때문에 경영권 분쟁도 마무리 수순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주총이나 법적 대응 모두 여의치 않기 때문에 신동주 전 부회장이 다시 귀국해 신격호 총괄회장을 만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