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조류 원격모니터링기법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9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초분광영상 활용, 낙동강 등 하천 전 구간에 조류 상황 분석 가능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앞으로 하늘에서 낙동강과 북한강 등 주요 하천 조류(藻類) 발생지역과 정도를 영상정보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항공에서 촬영된 초분광 영상 정보를 이용한 조류 농도 영상 감시체계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초분광은 물질을 감지하는 파장을 극도로 촘촘하게 분리하는 기술이다.

조류 농도 영상은 하천을 따라서 촬영된 고해상도 조류 농도영상으로 클로로필-a 양이 많고 적음을 색 차이로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천연색 영상으로 표출되게 된다.

기존 주요 지점에서 측정한 녹조 정보는 전반적인 조류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반면 항공기에서 촬영하는 영상 정보는 하천 전체구간에 대한 조류 분포 상황과 농도를 알려준다.

조류 농도 영상은 지난해부터 국립환경과학원이 수행 중인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조류 원격모니터링 기법 연구’가 최근 성과를 거둔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초부터 본격적인 초분광 항공촬영을 실시하고 원격 추정모형을 개발해 시범적용해다. 내년 상반기까지 적용기술 최적화 검증을 실시한 후 여름부터 본격 적용할 방침이다.

초분광영상은 일반 카메라 영상과 달리 가시광선 영역(400~700nm)과 근적외선 영역(700~1,000nm) 파장대를 수백개 구역(밴드)으로 세분해 촬영함으로써 조류가 빛에 반응해 내놓은 특징적인 복사파장을 감지할 수 있다.

김경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평가연구과 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법을 통해 본류 및 지류·지천 유입부에서 발생하는 조류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조류 발생에 따른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조류 영상 정보와 관측 결과를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