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이 보유한 전체 시가총액은 약 389조원으로 전체의 29.59%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말 422조3440억원(31.63%)보다 33조6000억원(2.04%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외국인 보유 시총은 지난 2011년 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스피 시장의 경우 외국인 보유 시총은 지난 2011년 342조4500억원(32.86%)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 2013년 418조7540억원(35.31%)까지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406조3440억원(34.08%)로 줄어든데 이어 올해 370조4770억원(32.41%)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가 48.84%로 비중이 가장 컸다. 지난해 말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은 화학(29.69%)으로 3.34%포인트 늘었다.
반면 비중이 가장 작은 업종은 종이목재(4.56%)였다. 감소폭이 가장 큰 업종은 기계(14.60%)로 지난해 말 보다 22.91%포인트 줄었다.
종목별로 보면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한국유리(80.74%)였다. 외국인 지분율 상승폭이 가장 큰 종목은 S-Oil(31.77%포인트)로 나타났다.
코스닥의 경우 외국인 비중은 감소했지만 시총은 늘었다.
지난 24일까지 외인 보유 시총은 18조2560억원으로 전체의 10.70%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11.18%)보다 비중은 줄었지만 보유 규모(16조원)는 증가했다.
소속부별로 보면 우량기업부, 벤처기업부의 외국인 시총비중이 각각 0.14%포인트, 1.28%포인트 감소했다. 신성장기업부도 0.50%포인트 줄었다.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한국기업평가(81.62%)였다. 외국인 지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종목은 디에스티로봇(40.2%포인트)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