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진 폭발사고 '반면교사' 삼은 중국...1000개 화학공장 이전·개조 추진 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30 14: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톈진항 폭발사고 16일째인 지난 27일 한 구조요원이 사고지역에서 혹시나 남아있을 지 모를 가연성 물질을 찾고 있다. [톈진 = 신화통신]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 지방 정부가 최근 톈진(天津)항에서 발생한 초대형 폭발사고를 '반면교사'(反面敎師) 삼아 1000여 개의 화학공장을 이전하거나 개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먀오웨이(苗圩) 중국 공업정보화부 부장(장관)은 29일(현지시간)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보고를 통해 톈진 사고가 성(省)급 정부의 화학공장 재배치 및 개선을 촉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30일 보도했다. 

먀오 부장은 "우리는 지난해부터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 위치한 화학공장의 이전 및 개조를 준비해 왔다"면서 "하지만 (톈진 폭발사고를 통해) 우리의 이같은 계획이 불충분했음이 판명났다"고 말했다. 

먀오 부장은 약 1000개의 공장을 개조하거나 이전하는데 4조 위안(약 730조원)이 소요된다며 비용이 주요 쟁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上海)시 교통위원회 해사국 직원 여우자는 "톈진 사고가 다른 지방 정부에 큰 교훈이 됐다"며 "그러나 결국 개선을 위해 지급할 비용이 가장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지역 주민의 강력한 저항으로 화학공장 재배치가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일부 거주 지역 근처에 화학공장을 설치하는 것을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중국 지역 곳곳에서 빈번히 발생했다. 지난 6월에는 중국 상하이(上海) 진산(金山)구 주민 1만여 명이 파라자일렌(PX) 화학공장 이전을 저지하기 위한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

지난 12일 밤 톈진시 빈하이(濱海)신구 탕구(塘沽)항에서 물류창고 폭발사고가 발생해 14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실종되는 등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폭발사고로 수백톤의 독성물질이 새어나오면서 주변 지역의 수질과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돼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어 22일 오후에는 산둥(山東)성 쯔보(淄博)시 환타이(桓臺)현의 한 화학공장에서 폭발이 일어나 1명이 사망하고 최소 9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같은 사회 전반의 안전 불감증 문제는 시진핑(習近平) 지도부의 리더십에 또 다른 위기로 떠오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