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도권개발 호재에…" 베이징 '베드타운' 옌자오 부동산 '광풍'

  • 석달 사이 집값 ㎡당 최대 180만원 올라…베이징 일부 지역보다 비싸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정부가 수도 베이징(北京)과 주변 지역을 묶는 '징진지'(京津冀: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 일체화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수도권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베이징과 강 건너 마주하고 있는 허베이(河北)성 옌자오(燕郊) 지역이 대표적이다. 옌자오는 베이징의 베드타운으로 불리는 곳이다. 

옌자오 핵심구에 소재한 ‘상상청리샹청(上上城理想城)’ 아파트. 지난 해까지만 해도 ㎡당 8600위안에 불과했으나 지난 8월 1만4000위안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집값이 60% 이상 뛴 것. 또 다른 아파트 단지 ‘강중뤼(港中旅)’도 지난 해 ㎡당 9000위안에서 현재 1만5000위안(약 275만원)까지 뛰었다.

베이징청년보(北京靑年報)는 지난 6월부터 석 달 사이 옌자오 집값이 ㎡당 최대 1만 위안까지 올랐다고 21일 보도했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현재 옌자오에서 신규 주택의 경우 ㎡당 2만 위안에 육박한 가격에, 중고주택의 경우 1만2000~1만6000 위안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중위안 부동산에 따르면 베이징시 핑구(平谷)·화이러우(懷柔) 지역 신규 주택은 ㎡당 평균 1만3038위안, 1만1654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사실상 옌자오 집값이 베이징 일부 지역보다 더 높은 셈이다. 

옌자오 집값 폭등은 지난 6월 베이징 도심의 일부 행정기능을 베이징 동남부 퉁저우(通州) 지역으로 이전시킨다는 소식이 도화선이 됐다. 행정기능 이전 대상 지역인 퉁저우 집값이 고비 풀린 듯 치솟자 지난 달 베이징시는 퉁저우 주택구매 제한령 조치를 내놓아 퉁저우에 3년 미만 거주한 주민 등에 대해선 주택 구매를 금지했을 정도다.

퉁저우에 주택구매 제한령이 떨어지자 부동산 광풍은 바로 강 건너 허베이성 옌자오로 번졌다. 여기선 별다른 제한 없이 집을 살 수 있어 집을 사려는 베이징 주민들이 대거 몰렸다. 

퉁저우로 행정기능이 이전되면 옌자오 지역경제가 살아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 데다 베이징~탕산 고속철, 지하철 M6 연장선 사업 등이 확정되면서 옌자오 집값 상승에 기름을 끼얹었다. 전문가들은 옌자오 집값이 과도하게 올랐다고 경고하며 집값 폭등의 이면에는 부동산 개발상의 분양가 담합 등 투기적 요소가 자리잡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허베이성 정부도 지난 14일 ' 베이징 주변지역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 발전에 관한 통지'를 발표해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정부 허가없이 아파트를 분양하거나 광고 홍보하는 것을 금지하고, 투기 목적으로 토지를 묵히는등 행위를 엄격히 처벌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허베이성 옌자오[사진=바이두]

허베이성 옌자오[사진=바이두]


*옌자오: 허베이성 싼허三河)시에 위치한 개발지역. 옌자오는 허베이성이지만 베이징 도심까지 거리가 30km에 불과하다. 고속도로 추가건설, 지하철 개통 등 소문이 돌면서 2010년대 후반부터 부동산개발 광풍이 불었다. 2013년 전후로 ㎡당 1만5000위안까지 올랐던 옌자오 집값은 지난해 거품이 빠지면서 1만 위안 아래로 떨어졌으나 최근 수도권개발계획에 힘입어 다시 들썩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