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영업정지 일주일이 마무리되며, SK텔레콤이 과연 어떻게 떠나간 고객들이 되찾아올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강화된 모니터링과 단통법 이후 고착화된 이통 시장, 그리고 SK텔레콤의 자체적인 ‘가이드라인 준수’ 방침 등을 고려할 때 가입자 회복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8일, 이통업계에 따르면 영업정지 일주일동안 SK텔레콤의 가입자 이탈은 총 4만3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SK텔레콤을 떠난 4만3000명의 고객은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2만1700명, 2만1900명씩 사이좋게 나눠가졌다.
영업정지의 최대 고비였던 주말을 토요일 순감 6243명, 일요일 순감 4106명으로 비교적 무난하게 넘기며 이탈폭을 줄였지만, 4만3000명이라는 수치에 대해 SK텔레콤은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영업정지 직전인 9월 한달동안 SK텔레콤의 순감이 1900여명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일주일만에 전월 대비 약 22배가 넘는 고객이 이탈한 셈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상당한 고객이 이탈했지만 이를 회복하기 위해 어떤 무리수도 던지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힌 후 “방통위의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하며 공정 경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SK텔레콤은 8일 출시된 LG전자의 프리미엄폰 ‘V10’에 대해 LG유플러스(최대 28만5000원)와 KT(최대 28만1000원)에 비해 크게 낮은 최대 23만9000원의 지원금을 책정했다. 고객 회복을 위해 30만원에 육박하는 지원금을 제공할 것이라는 업계 예측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관건은 10월말에서 11월초 출시가 예상되는 ‘아이폰S6’다. 이미 전작인 ‘아이폰6’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국내 점유율을 27%까지 끌어올린바 있어 ‘아이폰S6’ 출시 역시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낳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지원금 상한선이 제한된 상황에서 SK텔레콤이 타 이통사에 비해 압도적인 두각을 나타내기는 쉽지 않아 고객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SK텔레콤의 영업정지 일주일이 다양한 논란을 낳으면서 영업정지 자체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미 단통법으로 인해 시장 고착화가 상당히 진행된 상황에서 영업정지는 번호 이동이 많으면 ‘시장과열’, 적으면 ‘제재 효과 미미’라는 딜레마를 가지고 있다”며 “향후 과징금 중심으로 불법 영업을 단속하는 정책 방향 변경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