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전병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과 한국언론정보학회가 'UHD방송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세미나를 열었다.
전병헌 의원은 "지상파 UHD 방송 서비스를 위한 700MHz 대역 주파수 분배안이 오랜 진통 끝에 확정됐다. 하지만 지상파 UHD 표준 채택 과정에서 유럽식과 미국식 표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등 활성화를 위한 갈 길은 아직도 멀다"고 전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도 "UHD 특별법 제정 등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며 "지역 시청자들이 배제됐다는 지적도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에 학계에서는 UHD 방송 활성화를 위해 우선 공공서비스 부문에 대한 공적 지원 체계화와 공공서비스 비즈니스를 후방 지원하기 위한 수익사업 허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준희 박사(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는 "UHD 콘텐츠를 확대할 수 있도록 공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공영방송의 UHD 콘텐츠 공급과 기능 정상화를 위한 로드맵, 수신료를 비롯한 공공 재원의 안정적 공급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UHD 특화 콘텐츠 제작에 한해 외주비율 조정과 유료방송 공급 채널 영역에서의 신유형 광고, 비즈니스 모형 확대(T커머스 등) 허용으로 새로운 수익 사업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HD TV의 실질적인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콘텐츠 제작사의 동기유발과 이를 통한 후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경환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UHD TV의 경제효과와 관련해 직접적으로 제조사인 삼성과 LG가 가장 큰 수혜자"라며 "UHD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송사의 경우 막대한 투자비 대비 수익성 측면에서는 디지털 전환처럼 큰 기대를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김 교수는 "UHD TV는 사회안전 및 보안, 국방, 금융, 자율운송, 의료 및 보건, 교육, 광고 등 관련 산업에 있어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UHD TV의 간접적인 산업유발 효과가 UHD TV 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지름길이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는 미래창조과학부, 방송사, 가전사와 협력해 지상파 UHD 정책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UHD 방송에 대한 정부의 노력에 방송사와 콘텐츠 제작자 및 관련 업계의 적극적인 투자 또한 수반돼야 할 것이다. UHD방송에 대한 선도적인 투자는 UHD 방송 생태계 안착에 기여하고 방송기술 발달을 선도하며 우리 방송이 세계를 주도하기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