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02/20160302160521637297.jpg)
문창용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2일 세종시 소재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서 열린 BEPS 대응지원센터 개소식 행사에 참석, BEPS 업무분담 및 운영방안에 대한 양해각서 서명식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창용 세제실장, 박형수 조세연구원장, 임상혁 전경련 전무)[사진제공 = 기획재정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기획재정부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과 함께 KIPF 세종청사에 'BEPS 대응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운영을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 역외탈세를 이용한 국가 간 소득이전 및 세원잠식(BEPS,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하고 BEPS 프로젝트 최종보고서를 발표한데 따른 것이다.
그간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구글, 스타벅스 등 다국적 기업의 상당수가 세율이 높은 나라에서 수익을 얻고서 낮은 나라로 옮기는 방식으로 조세를 회피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에 설립된 센터는 앞으로 BEPS 관련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거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지원 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먼저 이달 내로 기업들의 BEPS 대응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센터는 앞으로 매 분기 운영위원회를 열어 효율적 운영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홈페이지 구축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