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당정은 8일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관련해 검찰 수사를 마친 뒤 잔상규명을 위한 국회 차원의 청문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국회 청문회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태에 대한 진상 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정조사 카드를 배제하지 않기로 했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이날 국회에서 가습기 살균제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당정 협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김광림 새누리당 정책위의장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이 밝혔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당정협의에서 “국회는 진상 조사에 착수하고, 청문회도 하겠다”며 “필요한 법 개정 준비도 서두르고 정부·여당은 비장한 각오로 사태 수습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 교수는 가습기 살균제 유해성에 대한 은폐 혐의를 받고 있는데 어떻게 화학 물질의 유독성을 돈 몇 푼에 은폐할 수 있느냐”며 “검찰은 성역 없이 수사해 한 점 의혹 없이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선진국에서는 유해성 논란으로 판매 허가가 안 된 제품이 우리나라에서는 판매됐는지, 시중에 유통 중인 위생용품의 화학적 유해성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정부부처는 자체 조사 감사를 실시해 달라”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가 야권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청문회 개최 가능성을 언급함에 따라 국회 진상조사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특히 당정은 내년 말까지 옥시레킷벤키저사(社)의 살균제 이외 국내에 유통 중인 살생물제(Biocide·원하지 않는 생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제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해당 기업에) 구상권 청구도 했는데 소송에서 이기면 피해자에게 배상이 이뤄질 수 있다”며 “이 자리를 계기로 신청 피해자 조사에 대한 판정을 신속히 제시하고, 피해 인정 기준을 확대해 지원하는 한편, 향후 유사 사고 재발방지 대책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밖에 당정은 이번 사태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되는 것을 감안해 추가 대처는 기존의 환경부 중심이 아닌 국무총리실 중심으로 격상,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한편 이날 당정협의에는 정 원내대표와 김 정책위의장 이외에 당에서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당 간사 권성동 의원, 보건복지위 간사 이명수 의원, 산업통상자원위 간사 이진복 의원 등이, 정부에서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등이 각각 참석했다.

국회 본회의장 [사진=유대길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