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런 코스닥 종목(감자 실시 업체 제외)은 올해 들어 8일까지 주가가 평균 145% 상승했다.
회전율은 일정 기간 거래량을 전체 상장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회전율이 1000%라면 주당 10번 거래가 이뤄졌음을 뜻한다.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자 손바뀜이 활발했음을 나타낸다.
이런 상위 10개 종목은 전부 연초보다 주가가 올랐다.
특히 거래회전율 1984%로 7위인 평판디스플레이용 기계제조사 리드는 주가 상승률이 542%로 가장 높았다. 주당 약 20차례 거래가 이뤄지는 동안 주가가 6배 이상 뛴 것이다.
하지만 거래회전율과 주가 상승률이 정비례하지는 않았다. 거래회전율이 3397%로 코스닥 전체에서 가장 높았던 정보기술(IT) 서비스업체 오픈베이스는 주가 상승률 56.6%를 기록해 회전율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8위에 머물렀다.
코스피에서도 회전율이 높은 종목은 대체로 주가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코스피 회전율 상위 10개 종목은 평균 주가 상승률이 62.7%로 코스닥(145%) 대비 절반에도 못 미쳤다. 3개 종목은 되레 주가가 떨어지기도 했다.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테마주'였다. 회전율 1위(2852%)에 오른 세우글로벌은 '신공항 테마주'로 묶여 주가가 급등락을 거듭하다가 결국 연초에 비해 하락(-1%)했다.
회전율 4위인 콤텍시스템(1558%)은 4월 총선을 앞두고 '안철수 테마주'로 묶이며 거래량과 주가가 급등했지만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결국 25% 떨어졌다. 역시 안철수 테마주로 분류돼 회전율 9위를 기록한 써니전자(1263%)도 연초 대비 39% 낙폭을 보였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테마주 주가 상승은 대부분 기업 펀더멘탈과 무관하다”며 "회전율이 늘어 거래시장이 과열되는 상황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