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제공]
아주경제 안선영 기자 = 환경부에서 고등어를 구울 때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한다고 발표했지만, 이와 상관 없이 고등어 수입량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수출량은 1만751톤으로 전년동기대비(6199톤) 73% 증가했다. 총 수출액 역시 68% 증가한 1억3300만 크로네(한화 약 177억원)로 집계됐다.
노르웨이 고등어 수입증가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국내산 고등어의 어획량 감소를 꼽을 수 있다.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의 고등어 어획량은 2만8687톤으로 전년동기대비(4만8139톤) 40.4% 감소했다.
상반기 국내산 고등어 어획량이 줄어든 원인으로는 어족자원 보호 차원에서 시행된 고등어 금어기로 약 한 달간 조업이 금지됐던 것과 연관해 수온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렸을 것으로 분석된다.
노르웨이 고등어는 국내산 고등어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품질 좋은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한 것으로 보인다. 노르웨이 고등어는 노르웨이 북쪽 연안의 차고 깨끗한 바다에서 잡혀 몸에 좋은 지방 함유량이 최대 30%에 달한다. 1년 중 가장 맛있는 가을 제철에 잡힌 고등어를 곧바로 급속 냉동해 한국으로 수출하기 때문에 영양소가 풍부하고 맛이 부드럽다.
군바르 비에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한국 담당 이사는 "한국 소비자들은 수산물을 선택할 때 영양과 맛을 가장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노르웨이 고등어의 장점을 살려 한국의 수산업계와 동반 성장하는 것은 물론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